이 글은 박싱/언박싱이나 명시적 형변환 등 타입끼리의 변환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글이라기보다는 여러 메서드를 이용해 타입끼리 쉽게 변환하는 법을 정리한 글이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다보면 가끔 메서드가 생각나지 않을 때가 있어 계속 참고하기 위해 정리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마 계속 수정하면서 글이 추가될 것 같다.
1. 문자열을 정수, 실수 등으로 변환
parse타입() 또는 valueOf()를 사용하면 문자열을 정수, 실수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래퍼 타입을 반환받고 싶으면 valueOf()를 사용하고 parse타입()은 원시형을 반환받을 때 사용하면 된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tr = "123";
Integer num = Integer.valueOf(str);
int num2 = Integer.parseInt(str);
Double num3 = Double.valueOf(str);
double num4 = Double.parseDouble(str);
System.out.println("num = " + num);
System.out.println("num2 = " + num2);
System.out.println("num3 = " + num3);
System.out.println("num4 = " + num4);
}
실행 결과
num = 123
num2 = 123
num3 = 123.0
num4 = 123.0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 클래스의 지역 변수 캡쳐 (0) | 2025.01.08 |
---|---|
JAVA 문자열 관련 메서드 정리 (0) | 2025.01.06 |
Java의 equals()와 hashCode() (0) | 2025.01.03 |
JAVA의 메모리 구조 (0) | 2025.01.02 |
JAVA 배열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