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프로젝트 코드를 작성하는데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았다. 하다보니 처음 계획에서 다소 벗어나서 이런저런 요소들이 많이 추가되었다. 매니저님께서 방명록에 글을 남기는 기능 뿐만 아니라 삭제하는 기능도 넣어보라고 하셔서 그 기능을 구현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냈다. 그 과정을 간단하게나마 정리해본다. 1. Firebase에 있는 데이터 삭제하기 1-1. 문제 파악 일단 가장 쉬운 부분부터 시작했다. 방명록에 삭제 버튼을 달아주었다. 그러고 나니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바로 파악할 수 있었다. 저 오른쪽에 있는 삭제버튼을 눌렀을때 왼쪽에 떠있는 데이터를 삭제해야한다. 다시 말해 버튼에 맞는 데이터베이스의 문서(Document)를 삭제해야 했다. 그런데 지금 만들어 놓은 버튼들은 다 같은 버튼이라 구분을 ..
오늘은 어제 작성한 SA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코드를 작성하는 시간을 가졌다. TIL 특강도 있었는데 사전캠프때부터 꾸준히 작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벼운 마음으로 들을 수 있었다. 이미 블로그에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두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많이되는지 직접 느낄 수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열심히 잘 적을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팀원의 이탈도 있었다. 포기하신게 아니라 다른 일자리를 찾으셨다고 하니 마음은 편했는데 갑자기 팀원이 4명에서 3명으로 줄어드니 당황스럽기는 했다. 그치만 남은 3명이서 더 열심히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었다. 사실 어제 캠프 시작하자마자 바로 SA를 작성해야해서 살짝 당황스러웠고 그렇기 때문에 초반에 계획을 잘 세워두고 홈페이지 제작에 임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
오늘은 길고 긴 사전캠프 기간을 지나 드디어 부트캠프가 시작한 첫 날이었다. 첫날이라 그런지 한 것이 많지는 않은 것 같은데도 정신이 없는 것 같고, 시간도 빨리 지나간 것 같다. 먼저 오리엔테이션 시간이 있었고 Git과 GitHub 사용법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Git은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어떠한 역할을 하는 것인지 사전캠프때 이론적으로 공부를 한 적이 있어 이해가 잘 되었다. 그 이후에는 바로 팀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팀 프로젝트는 다소 낯을 가리는 성격이라 처음 시작하는 단계에서 살짝 어려움이 있었다. 조원들도 비슷한 성격인거 같아 더 그런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 조금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하려고 노력해봐야겠다. 팀 소개 페이지 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했기 때문에 오늘은 사전캠프 기간 초반에..
오늘은 Kotlin에서 컬렉션을 정렬하는 법과 함수들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1. Kotlin 컬렉션 정렬하기 먼저 컬렉션을 정렬하는 함수들을 사용하려면 컬렉션 내의 요소들이 서로 비교가능해야 한다. 숫자는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고, 알파벳은 사전순으로 정렬된다. 1-1. sorted(), sortedDescending(), sort(), sortDescending() sorted()는 정렬된 리스트를 새롭게 반환한다. sortedDesending()은 내림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를 새롭게 반환한다. 코드를 작성해서 실제 예시를 보는 것이 이해하기가 더 쉽다. fun main() { val alphabets = listOf("E", "B", "C", "A", "D") val numbers = list..
오늘은 Math 패키지에 관해 정리하다가 빼먹었던 min과 max에 대해 정리해보고 문제를 풀어본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1. Math 패키지의 min과 max 이틀전에 Math 패키지에 관해 정리했던 글에는 min과 max에 관해서는 빼먹었었는데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아 추가로 정리해보았다. https://moomoo11.tistory.com/35 24-04-11 Kotlin Math 패키지 사용하기 공부를 하다보니 기본으로 제공되는 산술연산같은 것 말고 다른 연산이 필요한 경우가 생겼다. 따라서 코틀린에서 제공하는 Math 패키지를 사용하는 법을 공부해보고 정리해보았다. 아래의 코틀 moomoo11.tistory.com 먼저 min과 max를 사용하려면 당연히 먼저 Math 패키지를 불러와야한다. mi..
오늘은 어제 공부했던 Math 패키지를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해보았다. 1. 문제 풀기 1-1. 문제 프로그래머스에 있는 '기사단원의 무기' 문제를 풀어보았다. [문제] - 문제 설명 숫자나라 기사단의 각 기사에게는 1번부터 number까지 번호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기사들은 무기점에서 무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각 기사는 자신의 기사 번호의 약수 개수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하려 합니다. 단, 이웃나라와의 협약에 의해 공격력의 제한수치를 정하고, 제한수치보다 큰 공격력을 가진 무기를 구매해야 하는 기사는 협약기관에서 정한 공격력을 가지는 무기를 구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5번으로 지정된 기사단원은 15의 약수가 1, 3, 5, 15로 4개 이므로, 공격력이 4인 ..
공부를 하다보니 기본으로 제공되는 산술연산같은 것 말고 다른 연산이 필요한 경우가 생겼다. 따라서 코틀린에서 제공하는 Math 패키지를 사용하는 법을 공부해보고 정리해보았다. 아래의 코틀린 문서를 많이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math/ kotlin.math - Kotlin Programming Language kotlinlang.org 1. Kotlin의 Math 패키지 1-1. 사용법 먼저 Kotlin의 Math 패키지를 사용하려면 파일 앞부분에 패키지를 불러와야 한다. import kotlin.math.* 이 부분을 맨 위에 작성해주면 된다. 1-2. Math 패키지의 속성들 속성들 중에서 유용해 보이는 것들을..
오늘은 동일성과 동등성에 대해 알게되었고 그 차이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다음의 코틀린 공식문서를 많이 참고해보았다. https://kotlinlang.org/docs/equality.html Equality | Kotlin kotlinlang.org 1. 동등성과 동일성 Kotlin에서는 두 객체를 비교할 때 두 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동등성(Structure Equality)과 동일성(Referential Equality)이다. 먼저 둘의 차이를 간단히 살펴보자. 동등성은 두 객체의 값이 같은지 비교한다. ==으로 값을 비교한다. 동일성은 두 객체가 참조하는 주소가 같은지 비교한다. 다시 말해 어떤 두 객체가 메모리상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완전히 같은 객체일 때만 동등하다고 한다. ===을 사용하여 두..